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607

강경애 단편소설 『모자(母子)』 강경애 단편소설 『모자(母子)』  강경애(姜敬愛, 1907~1943)의 단편소설로 1935년 ‘개벽’지에 발표되었다.  강경애는 어릴 때 부친을 여읜 뒤 모친의 개가로 일곱 살에 황해도 장연(長淵)으로 이주하였다. 1925년 형부의 도움으로 평양 숭의여학교에 입학하여 공부했으나 중퇴하고, 서울의 동덕여학교에 편입하여 약 1년간 수학하였다. 이 무렵 그녀의 문학적인 재질을 높이 평가한 양주동과 사귀었으나 곧 헤어졌다. 1931년에 장하일과 결혼하고 간도(間島)에 가서 살면서 작품 활동을 계속했다. 한때 [조선일보] 간도지국장을 역임하기도 했으나, 차츰 나빠진 건강으로 1942년 남편과 함께 간도에서 귀국하여 요양하던 중 작고하였다. 1931년 [조선일보]에 단편소설 을, 그리고 같은 해 장편소설 을 [혜성.. 2024. 5. 16.
김광식 단편소설 『213호 주택』 김광식 단편소설 『213호 주택』  김광식(金光植. 1921∼2002)의 단편소설로 1956년 [문학예술] 지에 발표되었다. 1957년 [현대문학상] 수상작이다. 김광식의 작품 세계는 일제 식민지 통치와 6ㆍ25 전쟁으로 황폐해진 민족적 현실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삶의 내면을 다루면서, 과거의 역사적 상흔에 억압된 인간의 심리와 새롭게 변화된 세계에 적응하지 못하는 정신적 방황이 그의 소설의 주류를 이룬다. 과거의 상흔에 시달리면서, 현실에 적응력을 갖지 못하는 인간 심리 세계는, 등에 잘 나타나 있으며, 새로운 세계의 도래에 따른 정신적 방황을 다룬 소설 유형으로는 「213호 주택」을 비롯하여 등을 들 수 있다. 이 작품들에서는 소외된 삶의 의식이 주축을 이루고 있다. 「213호 주.. 2024. 5. 15.
엘리슨 장편소설 『보이지 않는 인간(Invisible Man)』 엘리슨 장편소설 『보이지 않는 인간(Invisible Man)』  미국 작가 엘리슨(Ralph Ellison.1914∼1994)의 장편소설로 1952년 발표되었다. 『보이지 않는 인간』(1952, National Book Award 및 Russwurm Award 수상)은, 인간성을 박탈당한, 이를테면 보이지 않는 존재가 되어 살아가야 하는 미국 흑인의 복잡한 괴로움을, 소외상황에 놓여 있는 현대인 일반에게도 공통되는 고뇌로서 상징적으로 묘사한 수작이다. 이 작품은 도스토예프스키의 를 본보기로 해 소외당한 인간을 묘사하고 있다. 는 전 2부로 된 장편소설이다. 제1부에서는 ‘지하실에 사는 사람’이라고 자처하는 중년남자가 추악한 존재 상황을 상징하는 지하실에 살면서 꾸미는 사변적인 내용을 담고 있으며, 제2.. 2024. 5. 14.
김내성 장편소설 『실낙원의 별』 김내성 장편소설 『실낙원의 별』  김내성(金來成: 1909∼1958)의 장편소설로 1957년부터 [경향신문]에 연재하다 소설이 거의 끝날 무렵 작가 뇌일혈로 급사하여, 그의 딸이 부친의 유고를 다듬어 완간하였다. 1장부터 14장까지 구성되어 있고 후반부는 큰딸 김문혜가 아버지의 작업 노트를 바탕으로 집필했다. 김내성은 당대 최고의 명문대를 졸업하고 추리소설가의 길을 택했다. 1935년 일본 탐정소설 전문잡지 [프로필]에 을 발표했다. 이후 탐정소설 작가로 이름을 알린 김내성은 한국 추리소설의 터전을 닦은 명실상부한 우리나라 최초 추리소설 작가가 되었다. 김내성은 당대 최고의 베스트셀러 작가였고 그중 『실낙원의 별』은 대중소설에까지 그 명성을 떨쳤고 그해 홍성기 감독에 의해 영화로 만들어져 많은 관객을 모.. 2024. 5. 13.
김정한 중편소설 『수라도(修羅道)』 김정한 중편소설 『수라도(修羅道)』  김정한(金廷漢. 1908∼1996)의 중편소설로 1969년 [월간문학]에 발표되었다. 구한말부터 해방 직후에 이르는 한 여인의 일생을 통하여 허 진사댁의 가족사와 한민족의 수난사가 실감 나게 표현된 이 작품은 제6회 [한국문학상]을 수상작이다.   이름 없는 민중의 항거 정신을 뚜렷이 부각한 문제작의 하나인 이 소설은 일제하 민족적 저항 의식이 강했던 허 진사 가문의 며느리 가야 부인의 일대기이다. 그녀는 한 가문의 수난을 온몸으로 감당해 내는 인고의 표상이며, 불도에 귀의함으로써 굴절 많은 생애를 마감하는 한국적 여인상이다. 이 작품은 가야부인의 생애를 역사적 수난과 관련지어 전개해 나간 구성법을 보여 준다. 4대에 걸친 가족의 수난사가 가야부인을 중.. 2024. 5. 11.
레싱 희곡 『에밀리아 갈로티(Emilia Galotti)』 레싱 희곡 『에밀리아 갈로티(Emilia Galotti)』  독일 계몽주의 극작가 G. 레싱(Gotthold Ephraim Lessing.1729∼1781)의 5막 비극(悲劇) 작품으로 1772년에 완성, 초연되었다. 고대 로마의 실록(實錄)에서 취재한 것이긴 하나, 직접적으로는 같은 소재를 다룬 비극 에 자극되고 또 하나의 그의 의 구체적 전형을 나타내 주기 위하여 집필된 것이다. 이 작품은 현재에도 널리 읽히고 상연되고 있으며, 18세기 독일 문학 가운데 가장 많은 논란을 불러온 작품이다. 혹자는 아버지가 딸을 죽이는 이 비극의 결말이 미학적·도덕적·정치적 어느 관점으로도 관객을 만족시키지 못한다고 지적하기도 한다. 신의 섭리도 찾을 수 없고, 등장인물 누구도 성공하지 않지만, 그래서 열린 결말은 .. 2024. 5. 10.
이병주 실록 대하소설 『산하(山河)』 이병주 실록 대하소설 『산하(山河)』  소설가 · 언론인 이병주(李炳注. 1921∼1992)의 대표적인 장편소설로 1979년 발표되었다. 작가는 일제 치하의 학병 체험과 한국전쟁, 4·19와 5·16 등 지난한 한국 현대사를 문필가로서 감당해왔다. 이병주에게 문학은 먼저 역사적 진실은 무엇인가 하는 점에 대한 물음이고, 다음으로 그것을 어떻게 표현하는가 하는 창작 방법의 문제였다. 이병주는 ‘역사를 위한 변명’이란 말로 압축되는 기록자로서의 문학관을 갖고 있으며 그가 말하는 실록 소설은 한국 현대사의 역사적 사실과 그 이면에 감추어진 진실을 찾으려는 방법으로서 소설을 의미한다. 이병주의 문학적 깊이는 인물들의 미시적 접근을 통해 도도한 역사의 물줄기를 가늠하면서 우리 현대사의 속살을 여과 없이 보여준다는.. 2024. 5. 9.
고대 인도의 5천축국을 답사한 여행기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 고대 인도의 5천축국을 답사한 여행기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    고대 인도의 5천축국을 답사한 여행기로 필사본이며 1권 1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라시대의 승려 혜초(慧超.704∼787)가 727년(성덕왕 26)에 지은 책이다. 이 책은 1908년 프랑스의 동양학자 P.펠리오가 중국 북서 지방 간쑤성(甘肅省)의 둔황(敦煌) 천불동 석불에서 발견, 중국학자 나옥진(羅玉振)이 출판하여 세상에 알려졌다. 이 책에는 당시 인도 및 서역 각국의 종교와 풍속ㆍ문화 등에 관한 기록이 실려 있다. 그 때는 벌써 불타의 유적은 황폐하여 기울어져 가고 있었으며 사원은 있으나 승려가 없는 곳이 있는가 하면 어느 큰 사원에는 승려가 3,000여 명이나 있어서 공양미가 매일 15석이나 소요되어 유지하기가 어렵게 된 곳.. 2024. 5. 8.
토마스 만 장편소설 『요셉과 그의 형제들(Joseph und seine Brüder)』 토마스 만 장편소설 『요셉과 그의 형제들(Joseph und seine Brüder)』 독일 소설가 토마스 만 (Thomas Mann.1875∼1955)의 장편 역사소설로 1933년부터 1943년 사이에 발표되었다. 이 장편소설은 1926년 12월에서 1936년 8월까지와 1940년 8월부터 1943년 1월까지, 약 13년이라는 긴 시간이 집필에 소요되었다. 자료를 찾기 위한 준비 기간까지 합하면 이 작품에 쏟아부은 시간은 20년에 가깝다. 또한 이 기간 동안 작가는 독일 나치정권의 집권과 제2차 세계대전 그리고 스위스 및 미국 망명 생활을 경험했다.  이 장편소설은 ●1부 (1933),  ●2부 (1934), ●3부 (1936), ●4부 (1944) 등 총 4부로 구성되어 있다. 나치스 발흥으로부터 .. 2024. 5. 7.
최인훈 중편소설 『하늘의 다리』 최인훈 중편소설 『하늘의 다리』  최인훈(崔仁勳.1936∼2018 )의 중편소설로 1970년 [주간한국]에 13회 동안 연재된 회장식(回章式)으로 쓴 작품이다. 최인훈의 예술론 또는 소설론을 겸한 소설로 말할 수 있는 작품이다. 「하늘의 다리」는 독신주의자이며, 삽화가인 김준구가 KAL가 납북사건에서 봄까지에 이르는 동안 서울의 밤하늘에 나타나는 환상을 추구하여 그 환상의 실체를 포착하는 것을 그린 소설이다. 중편소설「하늘의 다리」에서 한국적 요나나 한국적 샤갈은 모두 패배하고 있다. 그러나 작가는 편지 속에서 인간의 구원을 호소하는 절규를 통해 작중인물의 한계에 대한 인식을 작중인물 자신의 손으로 자백하게 하여 방법적인 승리를 거두고 있다. 김준구의 두 측면을 집단적 차원으로 확대 투사한다면, 그는 개.. 2024. 5. 6.
영국 소설가 도리스 레싱(Doris May Lessing) 영국 소설가 도리스 레싱(Doris May Lessing. 1919∼2013)   영국 소설가 도리스 레싱은 1919년 이란의 케르만샤에서 태어났다. 1924년 부모와 함께 아프리카의 로디지아로 이주하여 1949년 영국에 정주할 때까지 살았다. 1950년에 발표된 첫 작품집 는 로디지아에서의 백인 농장주 부부와 원주민 사이의 갈등을 묘사하고 있다. 1950년대 ‘성난 젊은이들(Angry Young Men)’ 세대의 한 사람으로, 20세기의 사회적ㆍ정신적 대격변에 휘말린 인물을 주로 다루고 있으며, 집단과 개인의식의 갈등을 그린 (1952) 등 일련의 소설은 연작(連作) (1964∼65)로 간행되었다. 그 후 79년부터 라는 제목 아래 과학소설을 잇달아 펴냈다. 두 번 결혼해서 다 이혼했는데,.. 2024. 5. 4.
모파상 단편소설 『귀향(歸鄕)』 모파상 단편소설 『귀향(歸鄕, retour à la maison)』  프랑스 소설가 모파상 (Guy de Maupassant.1850∼1893)의 소설로 1882년 발표되었다.  모파상은 1880년 2월, , 를 [근대 자연주의 평론]에 내놓으면서 문단에 데뷔하였다. 그 해 3월 단편 소설 를 졸라가 주최한 [메당의 저녁]에 발표했을 때, 플로베르로부터 공식적인 찬사를 받고 모파상은 일약 문단의 샛별로 등장하게 되었다. [메당의 저녁]은 자연주의 작가들의 동인지로서 1875년경 폴 알렉시, 앙리 세아르, 레옹 알리크, 위스망스 그리고 모파상이 졸라를 중심으로 활동하던 무대였다. 메당은 졸라의 저택이 있는 곳인데 이곳에서 저녁에 모임을 열었고, 프로이센ㆍ프랑스 전쟁을 소재로 각 한 편씩 발표하.. 2024. 5. 3.